맨위로가기

제1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1932년에 실시되었으며, 만주 사변에 대한 반대와 정치적 혼란 속에서 치러졌다. 선거는 중선거구제 하에 25세 이상 남성에게만 투표권이 주어졌으며, 우익 세력의 암살 사건이 발생하는 등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진행되었다. 선거 결과, 이누카이 쓰요시 총재의 입헌정우회가 301석을 얻어 압승했으며, 와카츠키 레이지로 총재의 입헌민정당은 146석을 얻었다. 선거 이후 여러 차례 보궐선거가 실시되었으며, 입헌정우회는 전국적인 지지를 확보하며 일본 제국주의 정책에 대한 지지를 보여주었다.

2. 배경

1931년 일본 군부가 조작한 만주 사변 발발 이후 일본 정계는 격변기를 맞았다. 당시 집권당 입헌민정당은 만주 사변에 반대 입장을 취했으나, 군부와의 갈등과 "심각한 부패" 혐의 등으로 비판받으며 와카츠키 레이지로 내각이 총사퇴했다. 이후 야당인 입헌정우회가 중심이 되어 이누카이 쓰요시를 총리로 하는 새 내각이 1931년 12월 13일 출범했다.

그러나 이누카이 내각 출범 당시 여당인 정우회 의석은 174석에 불과하여 소수 여당의 한계를 안고 있었다. 이에 이누카이 내각은 만주 사변 처리가 어느 정도 마무리되고 국민적 관심이 높아진 시점을 이용하여 정권 기반을 강화하고자, 제60회 중의원 개회 직후 의회를 해산하고 총선거 실시를 결정했다.

이번 선거는 여러 요인이 집권 여당인 정우회에 유리하게 작용했다. 선거 직전 경쟁 상대인 입헌민정당 내에서 아다치 겐조 등 일부 세력이 탈당하며 당이 분열된 점, 이누카이 내각이 1931년 12월 단행한 수출 재금지 조치로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조성된 점, 그리고 만주 사변과 상하이 사변에서의 군사적 성공 소식 등이 여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정우회는 선거 운동 과정에서 레코드토키영화 같은 새로운 미디어를 활용하는 전술을 선보이기도 했다.

만주 사변은 일본의 대륙 침략 야욕을 명백히 드러낸 사건으로, 이는 일제강점기 한국에 대한 식민지 지배를 더욱 공고히 하고 민족말살통치로 이어지는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선거를 전후하여 정치적 폭력이 잇따르면서 일본 정당 정치의 위기가 심화되었고, 군부의 영향력은 더욱 강화되었다.

2. 1. 정치적 혼란

1931년, 당시 집권당이었던 입헌민정당일본 군부가 일으킨 만주 사변에 대해 반대 입장을 취했다. 시데하라 기주로 외무대신과 와카츠키 레이지로 총리는 군국주의 세력으로부터 군사 문제 개입과 "심각한 부패" 혐의 등으로 비판을 받았고, 결국 와카츠키 내각은 총사퇴했다. 이후, 민정당 내 일부 우익 성향 의원들이 야당인 입헌정우회와 손을 잡고 이누카이 쓰요시를 총리로 추대하며 새로운 내각이 출범했다.

1931년 12월 13일 출범한 이누카이 내각은 당시 여당인 입헌정우회 의석수가 174석에 불과하여 소수 여당으로 정권을 운영해야 하는 불안정한 상황이었다. 이에 이누카이 내각은 만주 사변 처리가 일단락된 후, 사변 처리에 대한 국민적 지지를 등에 업고 정권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제60회 중의원 개회 직후 중의원을 해산하고 총선거를 단행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선거를 앞두고 일부 사업가와 후보자들이 우익 세력에 의해 암살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선거전 중인 1932년 2월 9일, '''혈맹단 사건'''의 일환으로 전 재무대신이자 민정당의 이노우에 준노스케가 암살되었고, 총선거 직후인 3월 5일에는 미쓰이 재벌의 총수 단 다쿠마마저 암살되면서, 일본 정당 정치의 미래에 암운을 드리웠다.

2. 2. 경제 상황

세계 대공황의 여파로 일본 경제는 심각한 불황에 직면해 있었다. 이누카이 내각금본위제 이탈을 의미하는 금 수출 재금지 조치를 통해 경제 회복을 시도했고, 이는 엔화 가치 하락과 수출 증대로 이어져 일시적인 호황을 가져왔다. 그러나 이러한 경제 정책은 일본 경제의 군수산업 의존도를 높이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는 결국 만주사변 이후 본격화된 군비 확장과 맞물려, 일제강점기 한국을 비롯한 식민지에 대한 경제적 수탈을 더욱 심화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3. 선거 제도

선거 제도는 중선거구제를 채택하였으며, 보통선거가 시행되었다. 다만, 선거권은 만 25세 이상의 남성에게만 부여되어 모든 성인에게 참정권이 주어진 것은 아니었다. 당시 유권자 수는 13,237,841명이었으며, 선출된 총 의원 정수는 466명이었다.

4. 선거 운동

(내용 없음)

5. 선거 결과

1931년 12월 13일 출범한 이누카이 쓰요시 내각은 입헌정우회가 174석으로 소수 여당인 상황에서 시작되었다. 만주 사변 처리가 일단락된 후, 정부는 사변 처리에 대한 국민적 지지를 얻고 정권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제60회 중의원 개회 시 해산을 단행하고 총선거를 실시했다.

선거는 여당인 입헌정우회에 유리하게 전개되었다. 선거 전 입헌민정당에서 아다치 겐조 일파가 탈당하여 분열된 점, 이누카이 내각이 1931년 12월 단행한 금 수출 금지 조치 이후 경기가 회복될 조짐을 보인 점, 그리고 만주 사변과 상하이 사변에서의 전승 분위기 등이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이번 선거에서는 레코드유성 영화 등 새로운 미디어를 활용한 선거 운동이 시도되기도 했다.

선거 결과, 입헌정우회는 예상을 뛰어넘는 301석을 획득하며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2] 반면, 경제 위기 대처 실패 등으로 지지를 잃은 입헌민정당은 기존 의석에서 100석 이상 감소한 146석을 얻는 데 그쳐 참패했으며, 당세 위축을 피하지 못했다. 사회민중당은 3석, 사회대중당은 2석, 혁신당은 2석을 각각 확보했고, 무소속은 12석을 차지했다.

그러나 선거 과정에서 2월 9일 전 재무대신이자 민정당 소속이었던 이노우에 준노스케가 암살되고, 총선거 후인 3월 5일에는 미쓰이 재벌 총수 단 타쿠마가 암살되는 '''혈맹단 사건'''이 연이어 발생하면서 정당 정치의 앞날에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웠다. 또한 입헌정우회는 압승에도 불구하고 선거 후 나카하시 도쿠고로 내무대신의 사임을 계기로 당내 갈등이 표출되었고, 이를 수습하는 과정에서 이누카이 총리의 정권 장악력은 오히려 약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5. 1. 정당별 득표율

wikitext

정당득표수득표율
입헌정우회5,683,13758.2%
입헌민정당3,442,32635.25%
사회대중당127,4591.31%
사회민중당125,7581.29%
혁신구락부36,8390.38%
기타1,4450.01%
무소속347,6683.56%
총합9,764,632100%


5. 2. 정당별 의석 분포

간사장: 구하라 후사노스케301석[2]입헌민정당총재: 와카츠키 레이지로
간사장: 나가이 류타로146석사회민중당위원장: 아베 이소오
서기장: 가타야마 테츠3석사회대중당위원장: 아소 히사시2석혁신구락부2석무소속12석합계466석



정당득표수득표율
입헌정우회5,683,13758.2%
입헌민정당3,442,32635.25%
사회대중당127,4591.31%
사회민중당125,7581.29%
혁신구락부36,8390.38%
기타1,4450.01%
무소속347,6683.56%
총합9,764,632100.0%


5. 3. 지역별 결과

세계 대공황으로 인한 경제 위기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 입헌민정당은 국민적 지지를 잃었다. 반면, 이누카이 쓰요시 총리가 이끄는 집권 우익 성향의 입헌정우회는 이번 선거에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입헌민정당은 의석수가 크게 줄어들며 참패했고, 사회대중당과 노농대중당 등 사회주의 계열 정당들도 일부 의석을 확보하는 데 그쳤다. 특히 입헌정우회는 후쿠오카, 야마구치 등 당시 일본의 식민지였던 조선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지역에서도 강세를 보였는데, 이는 당시 일본 사회에 팽배했던 제국주의적 분위기와 만주사변 등 대륙 침략 정책에 대한 지지가 반영된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아래는 각 현별 정당 획득 의석수이다.

현(縣)
의석수
획득 의석수
입헌정우회입헌민정당사회대중당노농대중당혁신당무소속
아이치171150001
아키타7430000
아오모리6420000
지바11830000
에히메9720000
후쿠이5320000
후쿠오카181232001
후쿠시마11730001
기후9630000
군마9630000
히로시마13760000
홋카이도201360001
효고191170010
이바라키11820001
이시카와6420000
이와테7610000
가가와6420000
가고시마121200000
가나가와11650000
고치6410001
구마모토10630001
교토11730001
미에9530001
미야기8620000
미야자키5500000
나가노13760000
나가사키9540000
나라5220001
니가타151040010
오이타7520000
오카야마10910000
오키나와5410000
오사카2110100100
사가6420000
사이타마11830000
시가5320000
시마네6240000
시즈오카13850000
도치기9630000
도쿠시마6420000
도쿄3115131101
돗토리4210001
도야마6420000
와카야마6510000
야마가타8530000
야마구치9720000
야마나시5410000
총계46630114632212


6. 선거 이후

선거 결과, 여당인 입헌정우회는 301석을 획득하며 예상을 뛰어넘는 압승을 거두었다. 이를 통해 이누카이 쓰요시 내각은 정권 기반을 강화하는 듯 보였다. 그러나 압승에도 불구하고 선거 직후 나카하시 도쿠고로 내무대신의 병으로 인한 사임을 계기로 당내 갈등이 불거졌고, 이누카이 총리는 이를 수습하는 과정에서 리더십에 타격을 입으며 정권 장악력이 약화되었다.

한편, 제1야당 입헌민정당은 기존보다 100석 이상 감소한 146석을 얻는 데 그치며 참패했다. 선거 전 아다치 겐조 일파의 탈당으로 이미 분열된 상태였던 민정당은 이번 선거 패배로 당세 저하에 제동을 걸지 못하고 정계에서 점차 소외되는 길을 걷게 되었다.

선거 전후로 전 재무대신 이노우에 준노스케와 미쓰이 재벌 총수 단 타쿠마가 암살당하는 '''혈맹단 사건'''이 발생하는 등, 당시 일본 사회는 극심한 혼란을 겪고 있었다. 이러한 사건들은 정당 정치의 위기를 심화시키고 군부 세력의 발호를 부추기는 배경이 되었다. 결국 선거가 끝난 지 약 3개월 후인 1932년 5월 15일, 5.15 사건이 발생하여 이누카이 총리가 해군 청년 장교들에게 암살당했다. 이 사건은 일본 정당 정치의 종말을 고하는 상징적인 사건으로 평가받으며, 이후 일본은 군부의 영향력이 극대화된 군국주의 체제로 빠르게 나아가게 된다. 이는 만주 사변을 비롯한 제국주의 침략 전쟁의 확대와 한국을 포함한 식민지에 대한 더욱 가혹한 탄압으로 이어졌다.

6. 1. 당선자 명단

(내용 없음)

6. 2. 보궐선거

1932년부터 1935년 사이에 다음과 같은 보궐선거가 실시되어 의원이 선출되었다.

7. 평가 및 영향

입헌정우회는 이 선거에서 301석이라는 예상을 뛰어넘는 압승을 거두었다. 이는 여당 프리미엄과 더불어, 경쟁 상대인 입헌민정당이 선거 전 아다치 겐조 일파의 탈당으로 분열된 점, 이누카이 내각이 단행한 수출 금지 조치 이후 경기 회복 조짐, 그리고 만주 사변과 상하이 사변에서의 군사적 성공 분위기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선거 운동 과정에서는 레코드토키영화와 같은 새로운 미디어가 활용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압승에도 불구하고, 선거 직후 나카하시 도쿠고로 내무대신의 병으로 인한 사임을 계기로 정우회 내부에 갈등이 불거졌고, 이누카이 쓰요시 총리는 이를 수습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정권 장악력이 약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한편, 입헌민정당은 기존 의석에서 100석 이상 감소한 146석을 얻는 데 그치며 참패를 기록했고, 당세 약화를 막지 못했다.

무엇보다 이 선거를 전후하여 발생한 일련의 사건들은 일본 정당 정치의 앞날에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웠다. 선거 운동이 한창이던 2월 9일에는 전 재무대신이자 민정당 소속이었던 이노우에 준노스케가 암살되었고, 선거 직후인 3월 5일에는 미쓰이 재벌 총수 단 타쿠마가 암살당하는 '''혈맹단 사건'''이 발생했다. 이러한 정치적 테러는 당시 일본 사회의 극단적인 분위기와 함께 정당 정치에 대한 불신이 커지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사건이었다. 결과적으로 1932년 총선거는 정당 간의 경쟁보다는 만주 사변과 같은 군사적 이슈와 사회적 혼란 속에서 치러졌으며, 이후 일본에서 정당 정치의 영향력이 약화되고 군부의 영향력이 강화되는 흐름을 가속화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참조

[1] 서적 Japan and Germany in the Modern World Berghahn Books 2006
[2] 서적 議会制度百年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